▶ 동영상 https://han.gl/rG16y
▶ 뉴스 분석을 위한 논리적 사고 https://han.gl/CfvSJ
한국은행의 최근 3년간 기준금리 변동
금리 인상기 (2021-2023)
- 2021년 8월부터 금리 인상을 시작
- 2023년 1월까지 기준금리를 3.50%까지 인상
- 2023년 1월부터 2023년 8월까지 3.50%에서 13차례 연속 동결
금리 인하기 (2023-현재)
- 2023년 10월: 3.50%에서 3.25%로 0.25%p 인하 (3년 2개월만의 첫 인하)
- 2023년 11월: 3.25%에서 3.00%로 0.25%p 추가 인하1
이번 연속 금리 인하는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 만에 처음 있는 일입니다.
한국의 금리 인하와 미국의 금리 동결로 인해 한미 간 금리 차이가 더 벌어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환율 상승 압력의 원인
- 한국의 기준금리가 3.00%로 낮아진 반면 미국의 금리는 유지되어 금리 차이가 확대됨
- 상대적으로 미국 자산의 수익률이 더 매력적으로 보여 달러 자산 선호 현상 발생
- 이미 원/달러 환율이 1390원대 초반을 기록하며 불안한 상황
한은의 우려
한국은행은 환율 변동성 확대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경제 성장의 하방 압력이 더 크다고 판단해 금리 인하를 결정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현 시점에서 가장 큰 리스크로 환율을 지목하고 있습니다.
경제 성장의 하방 압력이란 경제 성장률을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요인들을 의미합니다. 현재 한국 경제의 주요 하방 압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하방 압력 요인
|
한국의 금리 인하는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으로 환율 상승을 유발
자금 이동 효과
- 한국의 금리가 낮아지면 원화 자산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감소함
- 투자자들은 수익률이 높은 달러 자산으로 자금을 이동
-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는 과정에서 원화 가치 하락(환율 상승) 발생
금리차 확대 영향
- 한국의 기준금리 3.00%와 미국의 기준금리 상단 5.00% 사이의 금리차가 2%p로 확대
- 금리차 확대로 인해 해외 투자자들의 자금 이탈 가능성 증가
- 특히 외국인의 증시 자금이 이탈하면서 환율 상승 압력 가중
추가적 위험 요인
-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의 금리 인하 속도가 둔화될 것이란 예상으로 원화 약세 압력 고조
-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이 하향 조정되면서 원화 자산의 매력도 감소
'흠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흠념재 · 11월 수출 동향 분석] 티스토리 · 1203에서 함께 해요!!! (3) | 2024.12.03 |
---|---|
[흠념재 · 뉴스분석] 티스토리 · 1202에서 함께 해요!!! (31) | 2024.12.02 |
[흠념재 · 뉴스분석] 티스토리 · 1127에서 함께 해요!!! (24) | 2024.11.27 |
[흠념재 · 테슬라분석] 티스토리 · 1126에서 함께 해요!!! (0) | 2024.11.26 |
[흠념재 · 뉴스분석] 티스토리 · 1125에서 함께 해요!!! (27) | 2024.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