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더십68

22. 협력과 게임이론, 고양이의 딜레마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전략입문 노트입니다. 오늘은 앞글 1분 요약 없이 곧바로 시작하고자 합니다. 좀 재밌는 얘기거리가 있거든요. 두 마리 냥이가 있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이익에 충실한 합리적인 이성을 갖고 있습니다. 보기 드문 '이성적 냥이들'이고, 한 우리에 함께 있고, 동쪽을 반으로 나눠 각각 한자리씩 차지하고 있고, 그 중간에는 발판 하나가 있습니다. 이 발판을 누르면 먹이가 나오는 데, 먹이가 나오는 곳은 공교롭게도 서쪽입니다. 발판을 한번 누를 때 사료는 10개가 나옵니다. 발판을 누르고 서쪽으로 달려가는 수고를 해야 이 사료를 먹을 수 있으며, 여기에 드는 수고 비용은 사료 2개 입니다. 두 마리 냥이 A와 B는 두 개 전략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발판을 누르거나 다른 냥이가 발판을 누.. 2023. 2. 22.
[MBA 특강] 기업이 원하는 변화의 리더 #존코터 John P. Kotter 하버드 비즈니스스쿨 명예 교수이자 리더십 변화 관리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 MIT와 하버드 대학을 졸업한 뒤 1972년부터 하버드 비즈니스스쿨에서 가르쳤으며 1980년 불과 33세라는 젊은 나이에 최연소 정교수로 부임했다. Key Question, 시대가 변화를 요구할 때 당신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만약 지금 현 상태에 대해 강한 위기 의식을 느끼고 있다면, 누구나 리더가 되어서 조직을 변화시킬 수 있다. Summary 변화를 추진하는 기업들 상당수는 그 방법이 잘못되었다. 변화에도 정석이 있다. 기업은 왜 변화에 실패하는가? ① 구성원이 현재 상태에 안주하는 것을 용인한다. ② 변화 추진을 위한 연대 구축을 게을리 한다. ③ 비전의 중요성을 과소 평가한다. ④ 구성원들에게 비전을 철저히 주지 시키지.. 2023. 2. 21.
21. 협력과 게임이론, "어서와, 팀장은 처음이지!"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전략입문 노트입니다. 한 달여 만에 인사를 나눕니다. 그간 잘 지내셨지요. 오늘부터 20강에서 멈춘 '협력의 시대'를 다시 시작하려고 합니다. 그럼, '리더십 입문 노트'의 시그니처 '앞글 1분 요약'부터 해 보겠습니다. 죄수의 딜레마는 보다 큰 이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눈 앞의 이익에 안주하는 경향을 꼬집고 있습니다. 이 꼬집는 것으로 얘기를 마쳤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을 겁니다. 한데 여기서 우리는 이런 것을 발견했지요. '그럼, 더 큰 이익을 취하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이 바로 '협력하면 됩니다'였습니다. 한데 각자 이익에 진심인 내시 균형 상태를 깨고 일면식도 없는 타인과 협력을 한다는 것은 말처럼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요컨대 '내가.. 2023. 2. 20.
20. 협력과 게임이론, 팃포탯이 협력의 본질이었다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전략 입문 노트입니다. 삼일 연속 설날 얘기하는 건 좀 그렇죠. 그래도 이 얘기는 안 할 수가 없네요. 새로운 기운과 희망의 새해를 맞이하길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그럼, 오늘 준비한 얘기는 앞글 1분 요약 후에 시작하겠습니다. 앞 글 1분 요약 입니다. 파리에 도착한 에밀리가 남자와 이별하는 순간을 지네 게임과 백워드 인덕션 사고법으로 다뤘습니다. 사실 그 장면이 지네 게임과 백워드 인덕션 사고법과 딱 들어맞는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적어도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데는 도움이 되었으리가 봅니다. 어떠셨나요? 그리고 백워드 인덕션 사고법 핵심 내용을 세 가지로 정리도 했습니다. 환기하는 의미에서 그 키워드만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시간 순서', '상대 행동', '직관과 상상력.. 2023. 1. 22.
19. 협력과 게임이론, 파리의 에밀리가 보여준 '백워드 인덕션 backward induction'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전략 입문 노트입니다. 음력 섣달그믐 밤을 지새우면 '우리 우리 설날'입니다. 1924년 윤극영 선생이 지은 동요 '설날'의 한 대목입니다. 신정(양력 1월 1일) 정책을 펼치는 일제 강점기에 맞서 우리 것을 지키고자 하는 의지를 담은 노래로 지금까지 설날 하면 떠오르는 1순위 노래입니다. 그 우리 설날, 모두 평안한 명절 지으시고 올 한 해도 건강하고 행복한 나날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앞글 1분 요약 시작하겠습니다. 백워드 인덕션 사고법을 두 사례를 통해 알아 본 시간이었습니다. 전략 분야에서는 시나리오 플래닝 기법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의사결정 분야에서는 의사결정 나무로 구조화하여 활용하기도 합니다. 이런 백워드 인덕션은 특정 미래 시점에 목표를 달성했다는 전제 조건으로 시작해서.. 2023. 1. 21.
18. 협력과 게임이론, 목표와 백워드인덕션 backward induction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전략 입문 노트입니다. 설 명절을 앞두고 있습니다. 마음은 벌써 고향 집에 도착했지만 막상 집을 나서면 갈 길이 멀고도 간혹 험난합니다. 이럴 때 아차하는 순간 사고가 일어나더군요. 모쪼록 안전한 고향길이길 바랍니다. 오늘은 12편( https://bknote8.tistory.com/13 )에서 선언한 저의 커미트먼트 마지막 날입니다. 그날부터 오늘까지 매일 한 편 글을 포스팅하겠다고 했고, 이를 지키지 못하면 덧글을 남겨 주시는 분에게 제가 쓴 문제해결 지침서 '해결에 집중하라' 한 권을 보내 드리겠다고 밝혔는데, 공교롭게도 이 글로 제 커미트먼트는 지켰습니다. 사실 커미트먼트 한 기간 동안 긴장감이 평소보다 좀 높더군요. 글 쓸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여느 때와는 다르게 꼼꼼하게 .. 2023. 1. 20.
17. 협력과 게임이론, 다보스 포럼은 코디네이션 게임 중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전략 입문 노트입니다. 오늘은 왕춘용 작가가 쓴 '왜, 부패한 정치가가 잘 나갈까? 부제, 게임이론으로 알아보는 배신과 협력의 딜레마' 책에서 코디네이션 게임 사례가 있어 함께 공부하고자 가지고 왔습니다. 지난 9편에서 한번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https://bknote8.tistory.com/10 ). 앞글 1분 요약부터 먼저 하겠습니다. 앞글 1분 요약 입니다. 제로섬 게임, 비제로섬 게임, 윈-윈 게임, 전략적 사고와 관련한 개념과 사례, 대처 방법에 대한 행동 경제학적 입장을 살펴본 시간이었습니다. 먼저 제로섬 게임은 상대방과 강렬한 대응이 특징이며, 한쪽이 이기면 상대는 패가망신한다는 것이었고, 비제로섬 게임은 20세기 들어 복잡한 국제관계, 외교관계에서 제로섬 게임은 공.. 2023. 1. 19.
16. 협력과 게임이론, 제로섬 게임과 윈윈게임 그리고 전략적사고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전략 입문 노트입니다. 오늘은 책을 한 권 빌렸습니다. 행동 경제학자 댄 에리어리 교수가 2012년에 출판한 책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입니다. 사실 14편에서 소개한 ‘모든 것의 가격'이라는 책을 찾았는데, 어제 행동 경제학 사고법 시스템 1과 시스템 2 얘기 때문인지 이 책을 집어 들었지 뭡니까! 이 책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 THE (HONEST) TRUTH ABOUT DISHONEST'는 바늘 도둑이 소도둑이 되는 과정을 행동 경제학 관점에서 풀어쓴 것입니다. 제 관심사는 아니지만 거짓말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분명 '협력'이란 키워드가 한 번은 등장할 것이고, 거짓말과 협력은 어떻게 상호작용해 바늘 도둑으로 그칠 일을 소도둑으로까지 끌고가는 지 한번 살펴보려고 합니다. 이 얘.. 2023. 1. 18.
15. 협력의 리더십, 시스템1과 시스템2 행동 메커니즘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전략 입문 노트입니다. 오늘은 예고한 대로 행동경제학의 사고방식 인 '시스템 1' '시스템 2' 에 대해서 함께 공부하겠습니다. 먼저 앞글 1분 요약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앞글 1분 요약입니다. 앞글은 게임이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주제로 시작해서 행동경제학이 제시하는 행동 메커니즘까지 알아본 시각이었습니다. 얘기인 즉슨 게임이론이 성립하는 조건은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이다'였습니다. 한데, 죄수의 딜레마에서 더 나은 이익이 있음에도 그 대안을 선택하지 않고 현실에 안주하고 오히려 그 안주를 평화로 받아들이는 이른바 내시 균형을 도대체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가 핵심 질문이었고, 이 질문에 전통적 경제학은 뾰족한 답을 내놓지 못한 반면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행동 메커니즘을 들어 설.. 2023.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