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컨설팅H209 [MBA 특강] 기업이 원하는 변화의 리더 #존코터 John P. Kotter 하버드 비즈니스스쿨 명예 교수이자 리더십 변화 관리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 MIT와 하버드 대학을 졸업한 뒤 1972년부터 하버드 비즈니스스쿨에서 가르쳤으며 1980년 불과 33세라는 젊은 나이에 최연소 정교수로 부임했다. Key Question, 시대가 변화를 요구할 때 당신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만약 지금 현 상태에 대해 강한 위기 의식을 느끼고 있다면, 누구나 리더가 되어서 조직을 변화시킬 수 있다. Summary 변화를 추진하는 기업들 상당수는 그 방법이 잘못되었다. 변화에도 정석이 있다. 기업은 왜 변화에 실패하는가? ① 구성원이 현재 상태에 안주하는 것을 용인한다. ② 변화 추진을 위한 연대 구축을 게을리 한다. ③ 비전의 중요성을 과소 평가한다. ④ 구성원들에게 비전을 철저히 주지 시키지.. 2023. 2. 21. 21. 협력과 게임이론, "어서와, 팀장은 처음이지!"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전략입문 노트입니다. 한 달여 만에 인사를 나눕니다. 그간 잘 지내셨지요. 오늘부터 20강에서 멈춘 '협력의 시대'를 다시 시작하려고 합니다. 그럼, '리더십 입문 노트'의 시그니처 '앞글 1분 요약'부터 해 보겠습니다. 죄수의 딜레마는 보다 큰 이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눈 앞의 이익에 안주하는 경향을 꼬집고 있습니다. 이 꼬집는 것으로 얘기를 마쳤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을 겁니다. 한데 여기서 우리는 이런 것을 발견했지요. '그럼, 더 큰 이익을 취하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이 바로 '협력하면 됩니다'였습니다. 한데 각자 이익에 진심인 내시 균형 상태를 깨고 일면식도 없는 타인과 협력을 한다는 것은 말처럼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요컨대 '내가.. 2023. 2. 20. [MBA 특강] 기업 문화 혁신 전략 #에드가H샤인 Edgar H. Schein MIT 슬로언 경영 대학원 명예 교수. 1952년 하버드 대학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월터리드 Walter Reed 육군 연구소에서 근무한 뒤 MIT로 돌아가 2005년까지 교편을 잡았다. '기업 문화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해당 영역에서 다방면으로 활용되는 토대를 만들었다. Key Question, 기업 문화는 성공의 기억, 정교하고 세심하게 개선하라 기업 문화는 그 기업이 성공했던 경험을 통해서 오랜 세월 축적된 것이다. 그런 만큼 위기가 닥쳤을 때 변화의 방아쇠로 작동하기도 한다. Summary '가장 나중에 바뀌는 것이 바로 기업 문화다. 그만큼 바꾸기가 어렵다. A사는 기업 문화를 B사처럼 바꿔야 할까? - A사는 개인이 천천히 시간을 들이며 일한다. 일의 방식도 메뉴얼에 입각해 정.. 2023. 2. 20. [MBA 특강] 코끼리를 춤추게 하라 #루V거스너 Louis V. Gerstner, Jr 1965년 하버드 대학 비즈니스스쿨에서 mba를 취득하고 맥킨지에 입사했다. 1993년 붕괴의 위기를 맞은 IBM을 재건하기 위해 선택되어 회장 겸 최고 경영자(CEO)로 취임했다. 그 후 수년에걸쳐 IBM을 재건하고 1990년대를 대표하는 경영자로 추앙 받았다. 교육 분야에서도 공헌을 해 수많은 상을 받았다. Key Question, 대기업은 왜 실적 부진에 시달리며 쇠락해 가는가? 성과를 내서 구성원들 안에 변화를 침투시키고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며 그들을 믿고 변화를 추구하라 Summary '코끼리처럼 비대해진 조직에 필요한 것은 실행이야 말로 핵심' 회생 전략 - 회사를 분할하지 않는다. '고객은 혼란스럽도록 많은 제품을 원-스톱으로 제공해 줄 기업이 없어 오히려 곤란을 겪고 있다... 2023. 2. 19. [MBA 특강] 온워드 #하워드슐츠 Howard Schultz 스타벅스 회장 겸 CEO. 1982년 당시 4개 매장에 불과했던 스타벅스의 마케팅 책임자로 시애틀에 부임했다. 그 후 스타벅스를 인수해 높은 기업 윤리를 갖춘 세계적인 체인으로 성장시켰다.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이 있다. Key Question, 우리를 성공으로 이끌었던 그 무언가를 잃어버린다면? 성공으로 이끌었던 본질로부터 멀어져 원칙 없는 성과를 추구할 때 기업은 길을 잃는다. 나를 나답게 하는 원점을 잊지 말고 추구하라. Summary '급성장한 기업이 부진에서 회복해 다시 성장하는 스토리' 별 다를 것 없는 평범함으로의 후퇴 위기의식으로 복귀한 CEO가 내놓은 결단은 '즉시 실행할 것' 절대 변하지 말아야 할 것은 '커피 품질'과 '직원 처우' 고작 커피.. 2023. 2. 18. [MBA 특강] 사업을 한다는 것 #레이크록 RayKroc Key Question, 사업을 한다는 것의 본질은 무엇인가? 명석한 두뇌나 재능보다 고객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열정과 신념을 다해 꾸준히 임하는 것만이 경영의 전능한 원천이다. Summary 종이컵 영업사원에서 밀크쉐이크 기계를 팔던 중 맥도날드 형제를 만났고, 경영권을 사들인 맥도날드 McDolad 판매의 혁신을 창조한 성장 규모를 키우기 위한 품질 표준화는 곧 맥도날드의 역사 그 자체 햄버거 대학과 상품 개발 연구소 설립 비겁한 짓은 싫지만 수단은 가리지 않는다는 신념 주문을 받는 직원의 웃는 얼굴이야말로 맥도날드 이미지 그 자체이다 신념과 끈기야 말로 경영의 전능한 원천 "될 때까지 해야 돼!", 이 세상에서 끈기만큼 가치 있는 것은 없다. 시대가 변해도 고객 중심주의의 중요성은 변하지 않음을 일깨.. 2023. 2. 17. [MBA 특강] 운명 #존코터 #마쓰시타고노스케 Key Question, 이성적인 경영의 리더십은 무엇인가? 리더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겸손한 마음과 시련과 역경으로 배우고 끈질기게 앞으로 나아가는 것 만이 좋은 경영자가 되는 길이다. Summary '경영을 신의 경지로 끌어올린 한 평범한 사람의 이야기 Matsushita Konosuke'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불굴의 리더십 - 유년기: 궁핍에서 길을 찾다 - 청년기: 기업가로서의 틀을 마련하다 '생산량은 줄이되 직원은 해고하지 말 것' - 중년기: 독창적인 카리스마 : Panasonic · 마쓰시다 전기의 행동 규범 수립 '산업보국' '화친일치' '역투향상' 예절겸양' '순응동화' '감사보은' - 장년기: 통합의 리더십 '노조가 고노스케를 사장으로 복귀하게 해 달라' - 노년기.. 2023. 2. 16. [MBA 특강][people] 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 혁명 #톰래스 Key Question, 당신이 가진 강점의 원석은 무엇인가? 약점을 극복하려 애쓰지 말고 강점을 키워 더 강하게 만드는 데 집중하라 누구나 갖고 있는 강점의 구조를 이해해 재능을 적극 활용하라 Summary 약점을 극복하겠다는 것은 잊어버리고, 강점에만 집중해서 키워 나가라 Strength Finde: 인간 강점 연구 *강점= 재능 x 투자 34가지 재능 중 나만의 강점을 찾아라 ㆍ개발 Developer ㆍ개별화 Individualization ㆍ공감 Empathy ㆍ공정성 Consistency ㆍ긍정 Positivity ㆍ미래지향 Futuristic ㆍ발상 Ideation ㆍ배움 Learner ㆍ복구 Restorative ㆍ분석 Analytical ㆍ사교성 Woo ㆍ성취 Achiever ㆍ수집 Inp.. 2023. 2. 15. [MBA 특강] 마음의 작동법 #에드워드 L. 데시 Key Question, 섣부른 성과주의가 팽배할 때 방법은 무엇인가? 관리와 통제로는 사람을 스스로 움직이고 배우게 만들 수 없다. 자율성을 최대한 끌어내어 스스로 유능감을 경험하는 내적 동기 부여의 방법을 창안하라. 핵심개념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데에도 특별한 방법이 필요하다. 외적 동기 부여: 보상 체계 내적 동기 부여: 스스로 학습해서 목표를 달성하려는 의욕 보상과 위협, 경쟁은 내적 동기 부여를 약화시킨다. : 사람은 누구나 외부로부터 조정당하지 않고, 스스로 선택할 때 유능감을 느낀다. 내적 동기 부여를 위해 꼭 필요한 것은? - 즐거움과 성취감 - 나는 해낼 수 있다는 자아효능감 - 내가 행동을 선택했다는 자율성 통제는 더 큰 통제로 이어진다. ▷실무에서 부딪히는 문제의 해결책을 검증된 이.. 2023. 2. 9. 이전 1 ··· 20 21 22 23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