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죄수의딜레마35

32. 협력과 에티켓이 전문적인 이미지를 높이는 방법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리더십 입문 노트입니다. 협력을 끌어내는 데 질투심은 악순환을 만드는 방아쇠였습니다. 그럼 이 방아쇠를 걸어 잠글 수 있는 걸쇠는 없는 것일까? 오늘 얘기 주제는 바로 이것입니다. 개인과 개인 간 협력은 주어진 환경 상태에 따라 둘로 나눌 수 있었습니다. 하나는 주어진 환경이 1회 성 게임 상황이면 각 플레이어는 배신을 최적 전략으로 삼는 것입니다. 이것은 지극히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다른 하나는 무한 반복 게임 상황인데, 이 경우에는 팃포탯이 최적 전략입니다. 하지만 팃포탯 전략도 방심은 금물입니다. 질투심이 발동하면 게임은 곧바로 보복의 악순환에 빠지기 때문이죠. 그럼, 이 질투심을 막을 방법은 없는 걸까요? 질투심은 인류 진화 과정에서 생존 본능과 함께 여기까지 왔고, 인류가 생.. 2023. 3. 15.
31. 질투를 극복하고 협력을 끌어내는 방법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리더십 입문 노트입니다. 협력의 반대말은 무엇일까요? 협력 안 함일까요! 우스개 소리였습니다. 협력의 반대말은 죄수의 딜레마 입장에서는 배신입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한 사례를 소개할까 합니다. 인터넷 서점으로 출발해 성공한 아마존, 전자책 시장을 놔둘 리가 없습니다. 선점의 효과는 이미 본 상태였지요. 한데 전자책 시장이 생각보다 확산 속도가 더뎠다고 합니다. 2014년 아마존은 파격적인 균일가 정책을 냈습니다. 최신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를 포함한 모든 전자책을 9.99달러(한화 12,000 안팎)에 판매하겠다는 것입니다. 이 가격 정책은 일부 출판사로부터 거센 항의를 당연히 받았겠죠. 특히 고화질 사진을 포함하고 있거나 특별한 노고가 깃든 책을 그렇게 균일가로 팔 수는 없을테니 말.. 2023. 3. 14.
30. 협력과 '공존공영 시스템'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리더십 입문 노트입니다. 제1차 세계대전의 '크리스마스 휴전', 전쟁 중에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싶은데 정말 이런 일도 있었습니다. 이 얘기를 들으면서 저는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선사 시대 포식자가 난무하던 그 시절 한 가족 집단이 또 다른 가족 집단과 만나 새로운 집단을 만든 과정이 바로 이 과정과 흡사하지 않을까 하는 했습니다. 사실 이 생각을 예전부터 하고 있었는 데 특별한 단서를 발견하지 못했었거든요. 한데 이 글에서 결정적인 단서를 발견한 것입니다. 그것은 바로 '식사 시간'이었습니다. 안전을 위해서 상대방을 제압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지만 매번 만나는 타 집단을 제압할 수만은 없었을 겁니다. 그럼 과연 무엇이 계기가 되어 대치하고 있던 적과 협력을 할 수 있었을까.. 2023. 3. 13.
29. 협력과 제1차 세계 대전의 '크리스마스 휴전'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리더십 입문 노트입니다. 지난 시간 그러니까 앞글은 '협력의 비밀' 두 가지를 알아낸 사건을 로버트 엑셀로드 교수의 '협력의 진화'를 통해 소개했습니다. 비밀 중 하나는 '호혜주의' 였습니다. 좋게 보면 '품앗이', 달리 보면 '짬자미' 같은 미 상원 의원 간 협력 형태를 '호혜주의'로 본 시각이었고, 다른 하나는 '팃포탯'이 협력을 끌어내는 중요한 전략임을 엑세로드 교수가 실험 연구를 통해 밝혔다는 내용까지 소개했습니다. 다들 기억이 나실 겁니다. 떠 오른 기억 중에 'T > R > P > S 순서가 중요하다'라는 말도 있을 겁니다. 이 얘기는 반복적인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 포함한 모든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서 보상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의 순서를 말한 것이고, 이는 바뀌지 않는다는 .. 2023. 3. 10.
28. 협력의 비밀, 로버트 엑셀로드의 '협력의 진화'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리더십 입문 노트입니다. 앞글 '27. 협력을 끌어내는 방법 '치킨 게임의 교훈''까지는 게임이론 관점으로 협력을 얘기했습니다. 협력을 공부하는 입장에서 '협력과 게임이론'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정리하고 요약 정리하는 일이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매일 한 편씩 쓰는 노력을 들인 보람은 있었습니다. 첫째, 막연했던 협력을 다각도로 접근하는 방법을 알 수 있었고, 둘째, 협력을 끌어내는 일이 이성에 호소하면 될 일이라는 단편적인 생각의 지평을 넗혔고, 셋째, 이 협력이 그렇다면 어디에서부터 시작된 개념일까 궁금함이 생겼습니다. 해서 이번 글부터는 세 번째에 해당하는 그 궁금함을 풀어 볼까 합니다. 그래서 선택한 책이 로버트 엑셀로드 교수의 '협력의 진화'입니다. 이 책은 행동경제학이란 .. 2023. 3. 9.
27. 협력을 끌어내는 '치킨 게임의 교훈'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리더십 입문 노트입니다. 겁쟁이 게임 즉, 치킨 게임은 둘 중 한 사람은 파국을 맞거나, 두 사람 모두 치명적인 상처를 입는다는 것입니다. 해서 두 사람 모두 상생하는 방법을 찾아야 하는 것을 교훈으로 삼고 있습니다. 그중 '양보'를 최고의 미덕으로 삼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칫 잘 못 쓰면 이른바 '호구'로 전락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그렇다면, 그 적정선은 과연 어디일까요? 오늘 얘기 주제 입니다. 양을 치며 목가적인 삶을 사는 목장 주인이 있었습니다. 그 이웃은 사냥꾼이고, 그 집에는 사나운 사냥개 여러 마리가 있었죠. 한데 목줄을 모두 풀어 놓은 상태입니다. 한 번은 사냥개 두어 마리가 목장에 난입했고, 양 떼를 공격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그 광경을 목격한 목장 주인은 사냥개를.. 2023. 3. 6.
26. 협력과 게임이론, '치킨 게임' '겁쟁이게임'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전략입문 노트입니다. 요즘 챗GPT가 아주 핫합니다. 트렌드 2023에서 전망한 '선제적 대응기술'이 전망한 첫 번째 기술 트렌드인 듯합니다. 그래서 한번 경험을 해 봤습니다. 구글로 로그인을 한 다음 '협력 cooperation'에 대해서 물었습니다. 결과는 굉장히 정제된 언어로 된 글이었습니다. chatGPT가 내 놓은 글에는 글쓴이의 감정선을 느낄 수 없었습니다. 그렇다고 100점짜리는 아니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마치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딱 평균을 지키는 듯했기 때문입니다. 질문 수준에 따라 내용의 깊이가 달라지겠지만 현재까지 느낀점은 이렇습니다. 이것을 어떻게 활용할까? 검색 용도보다는 대화 용도는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글을 쓰다 막히는 구석이 있으면 챗GPT에게 묻는.. 2023. 3. 3.
25. 협력과 게임이론, 사슴 사냥 게임 "이거 공정한거 맞죠!" 안녕하세요. 필립의 전략입문 노트입니다. 오늘은 삼일절 104주년입니다. 매년 독립선언문 전문을 읽지는 않지만 첫 문장만큼은 꼭 한 번씩 읽어 보곤 합니다. '오등吾等은 자玆에 아我 조선의 독립국임과 조선인의 자주민임을 선언하노라' 이 첫 문장이 103주년 기념사에서는 "이제 누구도 대한민국을 흔들 수 없습니다. 이제 누구도 국민주권을 빼앗을 수 없습니다. 이제 누구도 한 사람의 삶을 소홀히 대할 수 없습니다."로 진화했었습니다. 그래서 104주년 기념사도 궁금합니다. 그로부터 우리는 또 어떤 독립국과 자주민이 되었는지 말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앞글 1분 요약입니다. 죄수의 딜레마는 '더 큰 이익이 있음에도 그 이익을 선택하지 않는' 인간의 비합리성을 꼬집으며 이는 딜레마라고 했습니다. .. 2023. 3. 1.
24. 협력과 게임이론, 레몬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 #한봉규 안녕하세요. 필립의 전략입문 노트입니다. 파일럿 피시와 빨판 상어는 상리공생 하지만 머리가 둘 달린 새 이야기 교훈은 '욕심 부리면 둘 다 망한다'였다. 또한 앙숙인 두 사람이 협력하는 네 가지 방식 중 최선은 과오를 반성하고 서로 배신하지 않기로 커미트먼트 하는 것 등이 앞글 주요 내용이었습니다. 이렇게 간략하게 정리하고 나니 협력을 방해하는 것이 욕심 또는 질투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 둘은 모두 심리적 기제이고, 이기적인 특성을 띠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협력이 새삼 왜 그렇게 힘든 일인지 알것도 같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죄수의 딜레마 시사점은 협력을 하면 더 많은 이익을 취할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한데 이 간단한 진리를 인간은 쉽게 선택하지 않는다는 데 딜레마가 발생합.. 2023. 2. 27.